Tax/2023

미리 준비하는 연말정산!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내용 정리 (카드 소득공제, 총소비금액 소득공제, 카드값 절세 효율)

정산멈춰 2023. 2. 17. 14:03
반응형

 

연말정산 - 그 밖의 소득공제 中  "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" 소득공제에 대한 사항 등 핵심요약

 

 


 

 

1.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정의

 

 

 

 -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의 연간 합계액이 해당 연도 총급여액25%를 초과하는 경우,

 

   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음.

 

출저 : 국세청 2022년 「연말정산 신고안내」

 

 

 

2. 항목별 공제율 및 한도

 

 

 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항목별 공제율 은 다음과 같다.

 

 

 - 직불카드( 체크카드, 선불충전카드, 지역화폐카드 등) 30% ,  신용카드  15%

 

   직불카드가 신용카드에 비해 2배 더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 한도는 다음과 같다.

 

 - 총 급여액에 따라 [ 300만원 ] OR [ 250만원 ] 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.

 

 

 

3. 2022년도 추가공제

 

 

 

 (1) 전년대비 신용카드 등 증가분에 대한 공제

 

 

 - 2022년 총 사용액이 전년도 총 사용액의  5% 가 넘을 경우,  초과분에 대해 20% 소득공제를 받음.

 

 - 해당 추가 소득공제의 한도는 100만원

 

 

 

 (2) 사용 목적별 추가 공제

 

 

 - 어디에 소비했는지에 따라 추가로 공제를 받음.

 

 - 총 급여액에 따라 추가공제항목의 한도는 [ 300만원 ] or [ 250만원] 

 

 

 

 

 4. 그 외 TIP

 

 

 

 1) 연 소득의 25% 는 신용카드 사용

 

   소득공제가 적용되지 않는 연 소득의 25% 는  어떤 카드를 쓰든 상관이 없기 때문에,

 

   비교적 혜택이 좋은 신용카드가 효율이 좋다.

 

 + 신용카드를 썼을 때 공과금, 통신비, 보험료 등 할인 혜택이 있는 고정비 활용 신용카드를 활용

 

 

 2) 연 소득의 25% 초과 시 직불카드를 사용

 

   총 사용액이 연 소득 25% 가 초과하여 소득공제를 받을 경우는 

 

   신용카드보다 공제율이 높은 직불카드 를 사용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. 

 

 


 ※ 국세청에서 카드 소득공제시, 결제 순서에 관계없이 신용카드 사용액부터 공제한다.

 

    연소득의 25% 금액은 신용카드 사용액부터 차감하고 이후 초과분에 대해선 신용카드를 먼저 공제하고,

    체크카드를 나중에 공제한다.


 

3) 조건 미달이거나 한도 초과 시 신용카드 사용

 

  해당 연도 사용금액이 연 소득의 25% 에 미치지 못하거나 이미 소득공제한도를 초과했다면,

 

  마찬가지로 할인혜택의 폭이 넓은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게 효율적이다.

 

 


 

한 해 소비하는 비용을 대략적으로 계산하고 계획을 세운다면 현명한 절세를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반응형